[데이터분석기사_Domain4] 시험 대비 기출 공략(5회)
[데이터분석기사_Domain4] 빅데이터 결과해석 시험 대비 기출 공략(5회)
61. 과대적합/과소적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③ 비선형은 선형보다 과대적합이 발생 할 가능성이 적다.
62. 재현율이 60%, 정밀도가 40%일때 F1-스코어는?
② 0.48
63. ROC그래프
① 민감도 특이도
64. 관계시각화 옳지 않은 것은?
② 누적
65. 빅데이터 시각화 설명 옳지 않은것은?
④ 정제설명
66. 분석결과를 표현하는 스토리텔링 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④ 사용자별 데이터 셋 및 정보 정의
67. 일반화선형모델이 적합성 검증에 적합하지 않다고 할때, 그원인으로 옳은것은?
② 가다
68. 다음중 어떤 시각화 방법인가?
[지역별 상품별 기뵤 할 때, 행 및 열에 지역, 상품을 놓고 판매량을 셀에 색깔로 지정]
③ 히트맵
69. 인포그래팩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③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.
70. 교차검증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?
④ 훈련: 검증: 테스트 = 2:3:5로 선택
71. 드롭아웃에 대한 효과로 맞는 것은?
③ 데이터 증각
72. 모델평가기준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④ 표본의 충분성
73. 다음 중 출력층을 다시 학습하는 것으로 옳은것은?
① 전이학습 (정답)
② 강화학습
③ 지도학습
④ 비지도학습
74. 아래 그래프를 보고 무엇을 해결해야 하는가?
④ 클래스 불균형 해소
75. 앙상블의 특징?
76. 비교시각화로 옳지 않은 것은?
③ 버블차트
77. 의사결정나무 분석결과 뿌리만 남는 이유로 적절한 것은?
④ 충분히 변별력 있는 변수가 없어서
78. 기본 평가지표공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?
② MSE = 잘못된 공식 (제곱이 빠짐)
79. 정규성 검증방식으로 틀린것은 무엇인가?
④ chi squred test
80. 혼돈행렬공식 중 틀린 것은?
④ 재현율 = TN/TN + F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