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CISA_Domain 4] 정보시스템 운영 및 비즈니스 리질리언스
[Domain 4] 정보시스템 운영 및 비즈니스 리질리언스
1. 프락시 서버: 사용자와 자원 사이에 중간링크를 제공
☞ 중간자역할, 우회경로 제공(취약점)
2. 구매 Process
고객 | → RFI → | 벤더 | ||
← 카탈로그 ← | ||||
예산 | → RFP → | |||
← 제안서 ← | ||||
평가 | ← 협상 → | |||
← 계약서 → | 제안서 첨부 |
3. 하드웨어 모니터링 절차
3-1 가용성 보고서
- 컴퓨터 가동시간, 사용자/다른 프로세스이용가능 시간 파악
- Down Time 정보시스템 불능상태(비가용성) 존재여부
- 지나친 유지보수, 예방적 유지보수 부족, 부적절 설비, 교육 부적절
4. 용량관리 고려사항
SLA | CPU이용도 |
네트웤 이용도 | 새로운 응용 |
메모리 이용도 | 새로운 기술 |
사용자 수 |
4-1 SLA(서비스 수준 협정)
- 서비스수준협정은 고위경영진이 수립
- 고위 경영진은 서비스 수준을 모니터하고 보고할 서비스 수준 관리자를 임명(x)
5. 통제그룹
5-2 입력통제
6-1. 사고(보안침해) / 문제점 관리
- IT서비스 중단에 따른 영향 제거 및 감소
- 사후 대응적이며, 가능한 한 현안들을 대응하여 해결
- 근본원인 조사 및 심층분석 통해 현안 해결
6-2. 품질보증
- 프로그램 변경 , 문서화가 설정된 기준 준수 여부
- 통제에 따라 시스템의 변경승인, 테스트, 운영환경 구현
- 프로그램/소스 버전관리, 합의된 개발 방법론 유지
7. 접근통제 소프트웨어
O/S | N/W | 조직 | |
예방 | 인증(생체/OTP) | 방화벽/VPN | 최소권한/직무분리 |
적발 | Log | IDS | 강제휴가 |
교정 | 백업(복구) | X | 직무순환(교차근무) |
8. OS 운영체제
- 운영체제의 가장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통제기능은 파라미터 검토
- 운영환경과 부여된 권한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정의, 통제, 모니터링
9. 유틸리티 프로그램
- 범위통제, Remote Access(외부), Log(X)
10. 소스코드 관리
- 지적재산권 포함, 접근제한 되어야 함, 에스크로 계약 활용
- VCS 활용(접근통제, 변경내용 추적, 이전버전 롤백)
- 프로그램 목적코드와 일치여부 감사인 검증
1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데이터 구조의 정의 저장/검색 및 무결성 제약조건(보장) 사용
- Join 연산 사용(속도느림, 비효율)
11-1 정규화
- 정의: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게
데이터를 구조화하는 프로세스(정보의 양 최소화)
- 목적 : 갱신이상 방지
- 역정규화 목적: 처리 속도(능율)
11-2 재조직 : 조각모음(공간효율)
11-3 체크포인트 : 시스템 장애 후 흐름에서 자료 손실과 복구노력 최소화 할수 있는 시점에서 재개
(시스템 성능을 떨어트림, 사용자 실수에는 사용 불가)
11-4 참조무결성: 두데이블의 정상적인 연결 보장
( 트리거 : 데이터 삭제/변경 시관계테이블 데이터함께 삭제/변경 또는 오류 )
11-5 개체무결성: PK중복 제한, 데이터 Null 및 임의변경 제한
12. No-SQL : 동적스키마 제공, Data 추가 전에 스키마 미정의
8.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(BCP)
- 중단상황에서 핵심적인 서비스 계속 할 수 있고,
재해로 중단된 경우에도 조직이 생존 할수 있도록 하는것
- [1st Step] 핵심 프로세스 식별
- [2nd Step] 위험평가
- 조직 복잡성에 따라 여러 계획 존재 , 일관성 중요
- BCP 정책 : 교정/예방 통제
- BCP 프로세스 : 계획 ▶위험평가/분석▶ BIA ▶전략개발▶ 전략실행
▶BCP계획개발▶BCP인식교육▶BCP테스트(호환성확보)▶모니터링/유지보수
- BCP/DRP는 구축 후 BY 주기적인 검토(테스트) FOR 호환성
8-1 비즈니스 영향분석 (BIA)
- BCP 계획 전략 수립의 가장 중요단계
- 핵심 프로세스와 지원IT 구성요소 평가 및 연관관계 결정
- 최종 사용자 참여가 매우 중요한 단계
- 고위경영진의 지원 적폭적으로 필요
¶ 어느것이 중요한 프로세스 인가?
¶ 조직의 핵심업무 프로세스와 관련된 주요 정보자원은 무엇인가?
¶ 중대한 손실 입기 전에 핵심자원 복구 시간대는?
☞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난 시 적절한 복구시기
▶ 중단/복구비용 교차(최소비용)
☞ 중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난 시 적절한 복구시기
▶ 비용에 상관없이 빠르게(최소시간)
8-2 BCP 테스트
문서 테스트 | 계획 각부서 배포 검토(누락여부) 가장 효과적인 테스트 |
구조적(Work Through) | 각부서 리허설 상세 검토 |
준비도 테스트 | 일부분 시뮬레이션 실제 자원투입 부서별 완전중단 Test(Peak Time 제외) |
8-3 BCP계획 유지관리
- 주기적 검토 / 갱신/ 테스트 진행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
설문지
인터뷰
IT관련자 최종사용자 한곳에 모여 결론도출
서신질의
9. 재해복구계획(DRP)
- 서비스 중단시 가용성 관리, 핵심 프로세스 및 IT서비스 복구계획(정상화)
- 목표: 비용대비 신속한 복구 처리
- BCP/DRP는 구축 후 BY 주기적인 검토(테스트) FOR 호환성
비상조치 | 인명구조, 피해확산 방지, 재해 공지(내부) | 비상조치 팀 |
1차 피해평가 및 재해 선언(외부) | 피해평가 팀 | |
BCP(업무연속성 ) 가동 | ||
복구 | 대체 처리 사이트 준비, 테스트 및 업무재개 | |
복구 기간 동안 비상 운영 | 비상운영팀 (재해감독자) |
|
재구성 | 상세 피해 평가 | 구호팀 |
1차 사이트 준비, 테스트 및 원상회복 | ||
재해종료 선언 |
10. 2차 사이트
- 합리적 수준의 하드위에 /소프트웨어 호환성 보장
- 물리적 통제 및 보안 등에 대한 주기적 테스트 필요
(테스트 완료 후 Data 및 S/W 삭제 우선 수행)
HVAC | 네트워크 | 컴퓨터 | 데이터 | 가용속도 | |
Mirrored | O | O | O | O | 수 분 |
Hot | O | O | O | 수 시간 | |
Warm | O | O | 수 일 | ||
Cold | O | 수 주 |
장 점 | 비 용 | 복구 속도 | |
Mirrored | 1차사이트와 구성동일 데이터 동기화 가능 |
▲ | ▲ |
Hot | 신속한 가용성 | ▲ | ▲ |
Warm | 저렴한 구축비용 | ▲ | ▲ |
Cold | 유비 비용 최소화 | ▲ | ▲ |
11. BCP/DRP 감사인의 역할
- 정부정책 비교 시 계획의 적정성 및 현실성 판단
- TEST 참여/미참여 시 계획의 효과성 판단
- 대체사이트 저장소 평가 시 적정성 및 최신성 판단
- IS 및 사용자 부서 평가 시 직원 비상대처능력 평가
12. 복구목표 시점/시간
재해선언 | |
←-------- MTD --------→ | |
←--- RPO ---→ | ←--- RTO ----→ |
- RPO : 복구되어야 하는 거래 처리 시점(언제꺼까지)
- RTO : 업무처리 능력 복구 목표 시간(얼마나)
- MTD : 조직이 업무 처리 중단 감내 가능시간
- MTD = RTO 가능하다
- MTD or RTO 한계복구시간 결정자 => 소유부서 담당자
- MTD가 짧다 = 중요한 자산 = 빠른 복구 필요 = 많은비용(Hot)
- RPO가 0이다 = 업무중단 불가 = 동기식 저장 (Mirrored)
- RPO 는 백업주기 보다 길어야(커야)한다
13. 백업/원격 저장소
- 복구목표시점(RPO)과 복구목표시간(RTO)에 정의된 바와 같이
주기적으로 백업 되어야 한다.
- 최상 트랙젝션 백업 ≫ 주기적인 오프사이트 백업
13-1원격지 라이브러리 (오프사이트)
- 외부에서 쉽게 식별 x
- 최신성을 확보하고 1차사이트와 동일한 재해에 노출 금지
- 순서: H/W ▶S/W▶ Data ▶사람
13-2 백업방식/백업 량
방식 | A | B | C | 복구 시간 |
백업 시간 |
전체백업(Full) | A | AB | ABC | ▲ | ▼ |
차등백업(Differential) | A | B | BC | ▲ | ▼ |
증분백업(Incremental) | A | B | C | ▲ | ▼ |
14. 응용(Application) 복구
- Fail - Safe : 장애 시 정지 (손상예방 모든 기능 정지)
- Fail - Soft(Resilient) : 비핵심 기능 정지 but 핵심 기능 작동 지속
- Fail - Over (Active - Stand by) : 장애시 중복/대체 설비 서비스 제공
절체되는(일시적) 순간 서비스 중단 존재
- Fail - Tolerant or Fault - Tolerant(Active - Active) : 장애/고장 감내
하드웨어 중복으로 장애 시에도 기능 지속, 중단 없음
로드밸런싱 기능, 생존력 높음
15. 통신의 연속성
여유분 (Redundancy) |
Router |
대체 경로 탐색 (Alternative routing) |
물리적 확보(회선 2개) |
다중 경로 탐색 (Diverse routing) |
Split / Duplicate (분리/분기, 중복) |